[제10차 포럼] 한국독립운동사의 재조명
조회:
첨부파일:
 

제10회 한민족 미래포럼

 

한국 독립운동사의 재조명

-백포 서일을 중심으로-

 

김 호 일 (중앙대 명예교수,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장) 

 

Ⅰ. 항일무장운동의 역사

 

  1. 독립운동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1) 1920년대 독립운동의 방략

          ① 독립전쟁론

          ② 외교독립론

          ③ 실력양성론

          ④ 자치론

 

      2) 독립전쟁

          제1기 - 1895~1910년 의병전쟁, (국내중심)

          제2기 - 1910~1920년대 재만 독립군의 항쟁, (만주중심)

          제3기 - 1930~1940년대 재중 독립군의 항일전, (중국본토중심)

   

  2. 의병전쟁(義兵戰爭)

 

      1) 의병의 개념, 성격

         “義兵者 民軍也 國家有急 直以義起 不得朝令徵發 而從軍敵愾  者也”

           (의병자 민군야 국가유급 직이의기 부득조령징발 이종군적기자야)

-박은식(朴殷植),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

                 

         “義兵이라 함은 그 名詞만 하야도 훌륭한 大價値가 있다. …… 그 조직체  의 대표적 인물, 곧 소수 유명의 모 대장, 모 참모 등 그네보담도 그 휘하에서 전진 즉 전진, 돌격 즉 돌격하면서 생사불고한 최다수 무명의 대대졸오들이 우일층 가치가 있나니라” -뒤바보, 『義兵傳』

           ① 민군(民軍)

          ② 의용군(義勇軍)(volunteer)

         ③ 정의군(正義軍:Righteous Army) 반개화성(反開化性), 반봉건성(反封建性),

                                                                     반침략성(反侵略性)

 

      2) 의병의 시기별 항쟁

         ① 전기의병(1895~1896년): 을미의병(乙未義兵)

            가) 을미사변(乙未事變)(1895. 10. 7), 단발령(斷髮令)(1895. 11. 5)

            나) 1895년 8월 보은 문석봉(文錫鳳) 부대(거의토적:擧義討賊)

            다) 1896년 유인석(柳麟錫) 부대, 이소응(李昭應) 부대, 노응규 (盧應奎)

                    부대, 기우만(奇宇萬) 부대

         ② 중기의병(1905~1906년): 을사의병(乙巳義兵)

            가)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1905. 11. 17)

            나) 1906년 민종식(閔宗植) 부대, 최익현(崔益鉉) 부대, 신돌석(申乭石)                       부대, 정환직·정용기(鄭煥直?鄭庸基) 부대

         ③ 후기의병(1907~1910년): 정미의병(丁未義兵)

            가) 군대해산(軍隊解散)(1907. 8. 1)

            나) 1907~8년 민긍호(閔肯鎬) 부대, 이강연(李康秊) 부대, 기삼연(奇三衍)

                   부대, 홍범도(洪範圖) 부대

            다) 13도(道) 창의군(倡義軍)(이인영:李鱗榮, 허위:許蔿, 신돌석:申乭石

                                                             부대) 서울공략작전(攻略作戰)

 

      3) 유인석(柳麟錫, 1842~1915)과 안규홍(安圭洪, 1879~1911)

 

  3. 독립군(獨立軍)의 항쟁

 

     1) 봉오동 전투(1920. 6. 7)

         ?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봉오동(鳳梧洞)

        ①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 ?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홍범도: 

            洪範圖), 국민회군(國民會軍, 안무:安武), 군무도독부(軍務都督府,

           최 진동:崔振東)

        ② 독립군 700~900명, 일본군 나남(羅南) 19사단(師團) 월강(越江)추격대대 

             (大隊, 안천소좌: 安川少佐) 300명

           ? 독립군: 전사 4명, 중상 2명

           ? 일본군: 전사 157명, 중상 200여 명(대한민국임시정부 발표)

 

     2) 청산리 전쟁(1920. 10. 21~26)

          ?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縣) 삼도구 청산리(三道溝 靑山里)

 

         가) 일본군의 토벌작전 ?

             ① 기림지대(磯林支隊)(4,000명) 

            ② 목림 지대(木林支隊)(3,000명)

            ③ 동지대(東支隊)(5,000명)

         나)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장백산맥

         다) 독립군 연합부대(2,000명): 일본군 아즈마 부대(5,000명)

             ① 백운평 전투 ② 완루구 전투 ③ 천수평 전투 ④ 어랑촌 전투

            ⑤ 맹개골 전투 ⑥ 만기구 전투 ⑦ 쉬구 전투 ⑧ 천보산 전투

             ⑨ 고동하곡 전투

         라) 전과

           ? 독립군 : 전사 130여 명, 부상 220여 명        계 350여 명

           ? 일본군 : 전사 1,200여 명, 부상 2,100여 명     계 3,300여 명

 

      3) 김좌진(1889~1930)과 홍범도(1868~1943)

  4.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

 

      1) 조선혁명당과 혁명군

        가) 조선혁명당(1929)민족유일당 운동-촉성회?재만유일당책진회 혁신의회

                                                                        -협의회?국민부?조선혁명당

         나) 조선혁명군 ?이당치국(以?治國) ?당군(?軍) : 사령관 양세봉

         다) 영능가 전투(1932): 혁명군 1만, 중국의용군 2만 일본 정규군 및  

                만주군 연합군 격퇴

 

      2) 한국독립당과 독립군

         가) 한국독립당(1930) ? 한족총연합회(김좌진 암살)

         나) 한국독립군: 사령관 이청천

         다) 대전자령(수분하) 전투(1933) ? 관동군 이즈카(飯塚)연대 전멸

 

      3) 양세봉(1896~1934)과 이청천(1888~1959)

 

   5.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1) 동북인민혁명군(1933): 제1사 이흥광(한국인) 제2사 조국광(중국인) 

          총사령 양정우(중국인)

 

      2) 동북항일연군(1936) ? 3로군

         가) 제1로군: 남만주 1, 2군(이흥광, 주진, 안봉학, 최현, 김일성)

         나) 제2로군: 동만주 4, 5, 7, 8, 10군(최용건)

         다) 제3로군: 북만주 3, 6, 9, 11군(김책)

 

      3) 보천보 전투(1937. 6. 4)

         가) 조선진공계획(1937. 3) ? 서강회의(2, 4, 6 사간부)

             ① 제6사(조선항일유격대 ? 보천보)

             ② 제2, 4사(보조타격작전 ? 무산)

         나) 제4사(최현) ? 무산공격(5.15)

         다) 제6사(김일성) ? 보천보 공격(6. 4)

             ① 6사 90명                          ┐

             ② 국내 조국광복회 80명(박달, 박금철) ┘

         라) 보천보(302호) : 일본인 26호, 중국인 2호, 한국인 274호 

         마) 전투성과: 경기관총1정, 장총6정, 모젤권총(대?소형) 2정, 탄약1,170발, 

                현금 1,100원, 의류 2,382원, 면사무소?소방회관, 산림구관사, 주택

                 각 1동 손실

 

      4) 이흥광(1910~1935)과 김일성(1912~1994)

       

  6. 조선의용군과 한국광복군

 

      1) 제3기 결전기

         가) 제3기 결전기(① + ② = 광복군(1943))

            ① 백범 김구 ? 광복군

            ② 약산 김원봉 ? 조선의용대(조선의용군(1941))

 

      2)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김원봉)

         가) 민족혁명당 창당(1935)

             ① 중앙당부:

 3부┏ 군사부(이청천) ┓                   ┏ 5개 지부(남경,상해, 광동, 남창, 북경)

      ┣ 당무부(김원봉)   ╋ 7개 지부-

     ┗ 특무부(이범석)   ┛                   ┗ 2개 특별구(국내, 장춘)

 

 

        ② 3대 구호: 적극 항전, 강력 투쟁, 광복 쟁취

         ③ 기관지: 「당보」,「민족혁명」,「전도」

 

         나) 조선의용대 발대(1938. 10. 10) ?

           2개 지대   ┏제1지대(박효삼朴孝三)┓150명(본부인원 포함)

                      ┗제2지대(이익성李益成)┛

            ① 분열(1941)

       ┏ 화북지대(華北支隊) ? 무정(武亭)과 결합 ? 조선의용군으로 개편   

        ┗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편입    

            ② 2개 지대(支隊): 1940년(216名) ? 제3지대(김수일金壽日)

      3) 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무정)

         가) 화북조선청년연합회(華北朝鮮靑年聯合會)(1941) 화북조선독립동맹

               (華北朝鮮獨立同盟)(1942) 위원장: 김두봉

         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朝鮮義勇隊 華北支隊)(1941) 조선의용군(朝鮮義勇

                軍)(1942) 사령관: 무정

 

      4)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김구)

         가)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1919. 4. 13, 상해上海)

             ① 대통령제 ? 국무위원제 ? 국무령제 ? 주석제

             ② 상해 ? 중경(1940)

         나)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1940. 9. 17)

             ① 육군무관학교(1920) ? 낙양군관학교(1931)

             ② 윤봉길의거(1936) ? 광복군성립승인(장개석) 광복군총사령부전계

                    (1940) 총사령관 이청천, 참모장 이범석

             ③ 편성: 제1지대(이준식), 제2지대(김학규), 제3지대(공진원), 제5지대

                   (나월환)

             ④ 광복군행동준승 9개항, 대일선전포고 (1941. 12. 10)

            ⑤ 강화: 조선의용대편입 ? 제1지대(김원봉), 제2지대(이범석),

                   제3지대(김학규) ? 277명

             ⑥ 국내진공작전  ?  OSS, 인도파견 ? 영국군과 작전

 

       5) 김구(1876~1948)와 김원봉(1898~?)

           

         

Ⅱ. 대한군정서 총재 백포 서일(白圃 徐一)장군

 

    1. 시대적 배경

       1) 국외정세: 제국주의의 침략

          ? 청(淸 중국) - 속방론(屬邦論)

          ? 일본        - 정한론(征韓論)

          ? 제정러시아  - 남진정책(南進政策)

          ? 국제적 충돌 - 1894년 청일전쟁, 1904~5년 러일전쟁

 

       2) 국내정세

          ? 안동김씨, 풍양조씨 세도정치 (1800~1863)

          ? 고종의 등극과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 (1863~1873)

          ? 명성황후(민비) 세도정치 (1873~1896)

 

       3) 일본제국주의의 침략

          ? 1876 한일수호조규

          ? 1882 임오군란

          ? 1884 갑신정변

          ? 1894 갑오개혁

          ? 1895 을미사변

          ? 1904 제1차 한일협약 - 고문정치

          ? 1905 제2차 한일협약(을사늑약)

          ? 1907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고종퇴위, 군대해산

          ? 1909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1910 한국병탄

         

  2. 서일의 생애

       1) 가계   

         본관: 이천(利川), 시조: 신라말 이천지방 호족 서신일(徐神逸)

         대표적 인물:  서희(徐熙 942~998) 고려전기 정치가, 외교가

 

       2) 출생   

         1881년 2월 26일 함경북도 경원군 안흥면 금희동(慶源郡 安興面 金           熙洞) 父 서재훈의 獨子

 

       3) 본명    서기학(徐夔學), 호 백포(백포), 당호 삼혜당(三兮堂)

 

       4) 용모

          키 5척6촌, 얼굴모양: 메마르고 여윈 편, 코는 높고 피부색은 검음

       5) 신분    농민  

 

       6) 교육  1890년 10세 학음(鶴陰) 김노춘(金魯春 ?~1905 :함경도지방 

            대표적인 유학자)에게 배움, 한학(漢學), 특히 주역(周易) 

            

                1900년 20세에 함경도지방의 대표적 개화 사상가 이운협이                  설립한 함경북도 경성군 소재의 유지의숙(有志義塾)입학하고 1902년 22세  졸업, 유지의숙-함일학교(咸一學校)로 발전 

                 

                1902년~1911년 교육운동과 계몽운동 종사

 

   3. 대종교(大倧敎) 종사(宗師)

 

       1) 망명    1910년 경술국치

                  1911년 중국간도 망명 - 왕청현(王淸縣) 덕원리 정착

                  망명시 가족 6인 부 서재운, 본인 서일, 처 채씨, 장녀(이                     름미상, 10세), 차녀 서죽청(6세), 장남 서윤제(4세)

 

       2) 대종교 종사

          가) 성격: 민족종교, 국조 단군(檀君) 신봉

                  1909년 단군교 개창(開創) - 1910 대종교 改名 - 중광(重                    光) “나라는 이미 망했으나 민족에게만은 진실한 의식을  배양시켜 민족부흥의 원동력을 만들어야 한다”

          나) 단군교포명서 공포: 한성북부 재동 취운정(翠雲亭)

              참석동지: 오기호, 강우, 최전, 유근, 정훈모, 이기, 김인식, 김춘식,

                                김윤식, 나철? 1세 교주 홍암선사 

          다) 교구설치: 4道 교구 (백두산 중심)

                       동도 교구 - 동만주 일대, 노령 연해주 지역

                       서도 교구 - 남만주에서 산해관

                       남도 교구 - 한반도 전역

                       북도 교구 - 중국?일본?구미 지방

          라) 1912년 서일 대종교 입교, 화룡현 청호총본사 -홍암 대종사                 상면 1913년 10월 영계((靈戒) 및 참교(參敎)로 피선 - 시교사(施敎師)로 활동 - 교우(敎友) 획득(獲得) - 지교(知敎)로 승질(昇秩)

 

              경전저술:「회삼경(會三經)」 「삼일신고 도해강의(三一神誥圖解 講義)」「구변도설(九變圖說)」「진리도설(眞理圖說)」「신리주해 (神理註解)」「종지강연(宗旨講演)」「삼문일답(三問一答」상하편 「신사기(神事記)」

              회삼경(會三經): 9장 「세검(三神)」「세밝은이(三哲)」「세가달(三

                             妄)」「세길(三途)」「세나(三我)」「세윤리(三倫)」

                            「세누리 (三戒)」「세모움(三會)」「하나로 돌아감(歸一)」

               삼일신고 도해강의: 5장 「한울에 대한 말씀」「한얼님에 대한 말씀」

                     한울집에 대한 말씀」「누리에 대한 말씀」「진리에 대한 말씀」

          마) 교주사양: 1919년 2세 교주 무원대종사(茂園大宗師, 김교헌) 

                        ? 백포에 교통전수권고 부탁 ? 서일종사, 무장투쟁전력투구

                              5년간 보류

 

       3) 대종교 종사 서일의 조천(朝天)

          가) 청산리전쟁-북로군정서군과 대한독립군 부대 대승 ? 밀산이 동 ? 대한독립군단(10개 단체) 결성 ? 노령연해주 이동 ? 이만도착(연해주) ?

자유시 참변(1921년 6월 27일)

          나)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 밀산에서 재기, 군사훈련과 둔병제 실시,

                 1921년 8월 26일 토비(土匪)습격 ? 당벽진(當壁鎭) 초토화

          다) 순국(殉國)

              1921년 8월 27일 “귀신이 수파람하고 도깨비 뛰노는 천지에 정기빛이 어두우며 배암이 먹고 도야지 뛰어가니 겨레의 피고기가 즐벅하도다. 날 저물고 길 궁한데 인간 가는 길이 어데메뇨”  (홍암대종사 나철의 순명3조의 한 구절) 암송 自盡殉國

          라) 대종교 성지 -삼종사묘

             ①홍암선사 나철 ② 무원대종사 김교헌 ③ 백포종사 서일

      

  4.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북로군정서) 총재 서일 장군

 

       1) 중광단(重光團) 조직 

          가) 1911년 3월 왕청현 국내 의병 중 두만강을 넘어온 의병 및 

               대종교신도를 중심 ? 중광단 조직

          나) 본부 - 길림성 왕청현, 단장 ? 서일, 계획 ? 국내 진입작전, 

                                정신무장 ? 자유독립의식

          다) 무오독립선언(戊午獨立宣言)

              1918년 여준?정신?김좌진?김동삼?손일민?서상용 등 38인 독립선언서 발표

      2) 대한정의단(大韓正義團)

          가) 1919년 3?1운동 간도지방 만세시위 3월 18일 화룡현 삼도구 청산리 900명, 3월 24일 안도현 거주 대종교신도 200여  명, 3월 26일 백초구 대종교신도 등 1천 200명 독립선언 축하회 개최

          나) 대한정의단 조직

              1919년 중광단, 공교회 동년 4월 왕청현 대감자(大坎子) 대한정의단(大韓正義團) 조직 단장 서일, 현천묵, 김좌진, 계화, 이장녕, 김규식, 이범석, 조성환, 박성태, 정신, 김찬수, 이홍래, 나중소 등

          다) 4대 강령, 7대 규약, 3대 부신(符信)

             ? 4대 강령 一, 정대(正大)한 의리의 천장(闡場)

                         一, 정당(正當)한 의무(義務)의 이행

                         一, 정직한 의무의 장려

                         一, 정순(正順)한 의거(義擧)의 찬동 

             ? 7대 규약 一, 서약을 필천 一,명령을 필준 一,양민을 물침 (勿侵) 

                                一, 타단을 물섭(勿涉) 一, 규율을 필수   一, 역무를 필담

                                一, 망언을 물작(勿作) 

             ? 3대 부신 一, 단장의 인증 또는 증권의 호수가 있지 않은경우에는

                                       복종하지 않을 것

                                  一, 단장의 수집명령에 의하여 굴기(屈期) 집합할 것

                            一, 서약서와 동호의 증권이 있지 않으면 단원이라고 인정하지

                                   않을 것, 단, 증권을 분실했을때는 보증연서로서 청원함.

                                     또는 본 증권의 호수를 비밀로 할 것

        라) 활동

           ? 순국어신문 발간: 「민보」「신국보」

           ? 결사대원 모집- 명부등록 1,037명 확보

           ? 일본내각 총리대신 하라 다카시(原敬)에게 서신(書信): 1919년                7월 서일, 계화, 김붕, 김일봉, 정신, 김암

 

      3) 대한군정서(大韓軍政暑: 북로군정서)

         가) 1919년 대한군정서 ? 길림군정사(吉林軍政司)와 연합 추진: 김좌진, 조성환 등 초빙

         나) 중앙조직: 총재부 ? 대외업무, 행정업무 (총재 서일)

                                   사령부 ? 군사부분  (사령관 김좌진)

                                 사관연성소 ? 1920년 2월 왕청현 서대파십리평,

                                                          (소장   김좌진)

                     - 교과목과 연혁: ① 정신교육 ② 역사 ③ 군사학 ④                         술과(述科)  ⑤ 교련법을 가지고 1920년 9월 9일 제1  회 졸업생 298명 배출하였고 교성대(교성대) 조직  300명 ? 청산리전쟁 최정예 요원

         다) 청산리전쟁 참전간부

            ? 총사령관 김좌진, 참모부관 나중소, 부관 박영희, 연성대장                   이범석, 종군장교 이민화, 김훈, 백종열, 한건원, 대대장 서리 홍충희, 제1중대장 서리 강화린, 제2중대장 홍충희, 제3중대장 김찬수, 제4중대장 오상세 대대부관 김옥현

  

      4)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

         가) 대한독립군단 결성: 청산리전쟁 승전 후 각 독립단체 밀산(密山)에

                             집결 9개단체 3,500명으로 결성되어 총재 서일, 부총재 홍범도,

                         김좌진, 조성환, 총사령 관 김규식, 참모장 이장령, 여단장 지청천

         나) 1921년 1월 소련연해주 이동 ? 6월 28일 흑하사변(자유시 참변)

             총재 서일: 군단의 군사적 지위 부총재 일임 군단의 경제적 지원 둔전제 실시(왕청현 당벽진)

         다) 1921년 8월 26일 당벽진 참화 8월 27일 조천(朝天, 조식調息의  폐기법閉氣法)